
Next.js SEO 최적화 2편 (robots, sitemap, JSON-LD)
Next SEO 최적화를 위한 robots, sitemap, JSON-LD 설정 관련한 글입니다.
개발 관련 블로그 포스트 모음입니다. 다양한 기술과 경험을 공유합니다.
Next SEO 최적화를 위한 robots, sitemap, JSON-LD 설정 관련한 글입니다.
React 컴포넌트를 왜 export default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생각해봤습니다.
Next SEO 최적화를 위한 Next.js 메타데이터 작성법과 메타데이터가 적용 방식을 공부한 것을 공유합니다.
해당 문서는 Next.js 15.1+의 배포 제약 사항에 대한 번역글입니다. 원문 출처 포함.
해당 글은 React 컴포넌트 prefetch 관련한 최적화 글입니다. Next를 사용하고 계신다면 Link 컴포넌트의 prefetch를 통해 Next가 알아서 다음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미리 로드하기 때문에 읽으실 필요가 없습니다
데이터를 패칭해서 화면에 뿌려줄 때 map 메서드를 돌려 화면을 그려줍니다. 이럴 경우 key 값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unique key를 설정하라는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데 왜 key 값을 설정해야 할까요? 그리고 key 값으로 Math.random(), uuid(), index를 사용해도 될까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비동기로 데이터 패칭할 상황에서 스켈레톤 UI를 많이 적용합니다. 그런데 모든 상황에서 스켈레톤 UI를 적용하는 것이 사용자 경험 개선에 도움이 될까요?
회사에서 새롭게 Vue 플랫폼 개발을 시작하며 개념 정리한다. 내가 Vue를 다시 보게 될줄 몰랐고, 오랜만에 보니 정말 새롭다 흑흑. Vue 개발이 러닝커브가 낮고 쉽다고 하지만 React에 익숙해서 그런지 쉽지 않다는걸 느끼고 있다. 그래도 새로운걸 배우는건 재밌으니 열심히 해봐야지. 이번 글은 계산된 속성인 Computed의 등장 이유와 watch와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사실 이전에 React Portal을 들어보았지만 굳이 적용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 나에게 포탈이란 메이플스토리 포탈뿐... 출퇴근 포탈이나 생겨줬으면 좋겠다는 생각뿐이었다. 그러던 중 최근 FCP를 줄이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프로젝트에서 꽤 많은 모달이 초기에 렌더링 되고 있었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페이지 컴포넌트 속에서 모달을 Pre-loading을 하고, 리액트 포탈로 사용하면 FCP가 단축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다시 공부하기 시작했다. 공부를 하며 "React Portal 을 사용하는 이유와 장단점이 또 뭐가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고 이 부분을 정리하며 글을 쓴다.
1년 전쯤 토이 프로젝트를 제작할 때 선배 개발자분께서 코드 리뷰를 달아 주셨다. 지금 생각해 보면 그 당시에는 코드를 짜기 급급했고 기본적인 개념을 간과하며 코드를 작성했던 것이 아쉽다. 이 부분을 회사 코드에 적용하며 다시 공부했고 기본 개념을 정리하며 글을 쓴다!
cra vite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과정을 공유합니다